top of page

Danse Vitale (2025)

for fl. cl. vn. vc. & pf.

​​

플루트, 클라리넷,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를 위한

<생명의 춤>

​​​​

Composed

2025

​​​​

Duration

ca. 12' 

​​​​

Performance

22. Oct. 2025.

IBK Chamber Hall(Seoul), Korea

Sae-ahm Kim X Seungyon Kim: Life & Death

​​​​​

cond. Hun Chung 정헌

fl. Kyeonghoon Seung 승경훈

cl. Seongyun Jung 정성윤

vn. Dong Suk Park 박동석

vc. Ye-Eun Shin 신예은

pf. Ji Hye Son 손지혜

정보가 범람하는 시대, 우리는 화면 너머로 쏟아지는 데이터에 압도되며 지나치게 균형을 잃은 존재로 변해가고 있다. 그러나 삶은 공식이 아니다. 자전거를 탈 때 계산과 공식이 아닌 신체의 운동성과 균형감으로 움직이듯, 우리의 삶은 공식화하여 살아나갈 수 없고, 메뉴얼화된 것이 아닌, 살아있는 매 순간의 삶을 맞닥뜨리며 나아갈 수밖에 없다. 

 

AI의 발달은 기술이 인간의 사고를 모방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결과를 산출하는 지점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기술이 고도화되고 더욱 폭발적으로 발전할 것인 이 시점에, 역설적으로 인간과 AI의 중요한 차이로 신체와 신체를 통한 '체화된 경험'이 지목되고 있다. 이것은 우리의 삶이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보여준다. 

 

인간의 신체와 생명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화는 '춤'이다. 영어 낱말 댄스(dance)의 어원인 산스크리트어 'Tanha(탄하)'는 '생명의 욕구'를 의미하며, 그리스어 'Tenein(테네인)'은 긴장, 온몸을 뻗침, 지속함 등 신체의 주요한 움직임과 연결된다. 기계나 AI가 아닌 인간의 삶은 마치 춤과 같은 것이다. 

 

작곡가는 이 작품에서 신체적 움직임을 상기시키는 소리의 울림, 변화, 리듬감을 사용하여 생명의 본질에 대한 체화된 감각을 통해 동작과 정지가 교차하며 이어지는 에너지의 흐름을 그린다. ‘생명의 춤’은 단순한 시청각적 묘사를 넘어, 존재가 살아 숨 쉬는 감각적 체험으로 확장된다.

(글 김승연, 작곡가)

​​​

In an age overwhelmed by information, we are increasingly becoming beings who have lost balance, inundated by the endless stream of data that pours through our screens. Yet life is not a formula. Just as riding a bicycle depends not on calculation or theory but on the body’s sense of motion and balance, our lives cannot be lived through formulas or manuals. We can only move forward by encountering each living moment as it unfolds.

The advancement of AI has reached a point where technology can imitate human thought and produce results with greater efficiency. Yet, paradoxically, at this very moment of technological acceleration,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humans and AI is being recognized in the body—in the realm of embodied experience. This recognition offers a renewed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live a human life.

The most vivid cultural expression of human vitality and corporeality is dance. The English word dance derives from the Sanskrit tanha, meaning “the desire for life,” and from the Greek tenein, meaning “to stretch,” “to sustain,” or “to reach out with the whole body.” Human life, unlike that of a machine or an AI, is thus akin to a dance.

In this work, the composer portrays the flow of energy that emerges through the interplay of motion and stillness—using resonance, transformation, and rhythmic pulse to evoke a bodily sense of life itself. Dance of Life extends beyond a mere audiovisual depiction; it becomes a sensory experience of existence itself, where life breathes, moves, and transforms within sound.

(Text by Seungyon Kim, Composer)

© 2025 by Sae-ahm KIM

  • Instagram
  • YouTube
bottom of page